홈검색결과
"결제창" 검색결과 203건
토스페이먼츠(신모듈)을 통한 간편결제 연동방법
연동
간편결제
1. 결제창 내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
pg : tosspayments
pay_method : 'card'
2. 직접 간편결제 모듈 호출하는 방식 이용 ()
pg : tosspayments
pay_method
- kakaopay (카카오페이)
- tosspay (토스페이)
- naverpay (네이버페이)
- payco (페이코)
- lpay (Lpay)
- ssgpay (SSG페이)
- lgpay (LG페이)
- samsungpay (삼성페이)
(삼성페이는 카드수수료의 0.3%가 추가적...
연동방식
연동방식
결제창
API
결제창 방식
결제대행사(PG사)에서 제공하는 결제창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결제창 화면 UI 및 구성을 변경할 수는 없으나 반대로 추가 개발 없이 결제대행사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이커머스에서 구현하시는 단건결제(일회성결제)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방식입니다.
참고로 결제창 내 표기되는 항목들은 결제방식(일반결제, 정기결제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API 방식
결제대행사(PG사)에서 제공하는 결제창을 이용하지 않고 결제화면 UI를 직접 만드는 방식...
나이스정보통신을 통한 간편결제 연동방법
나이스정보통신
간편결제
법으로 연동이 가능합니다.
가 상이하오니 유의하시어 연동부탁드립니다.
1) 나이스페이 결제창 안에서 간편결제를 이용
2) 간편결제창을 직접 띄우는 방법
(구)나이스정보통신
1. 나이스정보통신 결제창 내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pg : nice.상점아이디
pay_method : 'card'
2. 직접 간편결제 모듈 호출하는 방식 이용()
pg : nice.상점아이디
pay_method
kakaopay
(신)나이스정보통신
1. 나이스정보통신 결제창 내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pg : nice_v2.상점아이디
p...
결제수단
일반결제
간편결제
해외결제
기프트카드(선불카드)를 모두 포함한 카드사를 통한 결제수단입니다.
결제대행사(PG)의 결제창에서 카드사를 선택하고 카드사에 맞는 인증화면을 거쳐 결제되는 방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방식입니다.
계좌이체
실시간으로 계좌에서 출금되는 방식으로 뱅크페이 앱을 통한 결제수단입니다.
가상계좌
가상의 계좌를 채번(발급)하여 해당 계좌로 입금하는 형태입니다. (무통장입금과 동일함)
가상계좌 방식은 고정식과 회전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별로 지원가능한 결제대행사가 상이합니다.
대부분의 결제대행사에서는 ...
네이버페이 주문형 · 결제형 차이점
네이버페이(결제형)
네이버페이(주문형)
결제대행사 계약
주문형
상품 페이지 내 [네이버페이 구매하기] 버튼 이 노출되며 구매하기 버튼 클릭 시 네이버페이 주문서를 통해 주문을 진행하는 유형을 의미합니다.
결제형
고객이 결제수단을 고르는 페이지에서 [네이버페이] 가 제공되어 주문이 진행되는 유형을 의미합니다.
종합형
상품페이지 내 [네이버페이 구매하기] 버튼이 노출되고, 고객이 결제수단을 고르는 페이지에서도 [네이버페이]가 제공되어 어느 페이지에서든 네이버페이 주문이 진행되는 유형을 의미합니다.
주요 차이점
[주문형]* 방식은 배송 가능한 *'실물'** 상품을 운영할 때만...
가상계좌는 어떤 방식으로 연동할 수 있나요?
공통
일반결제
가상계좌
Endpoint URL 입력)
가상계좌 연동 가능 방식
가상계좌 발급은 결제대행사의 결제창을 띄워 발급받는 결제창 방식과 API 호출로 발급받는 API 방식을 모두 지원합니다. 각 방식별로 지원 가능한 결제대행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결제창 방식** : NHN KCP, KG이니시스, KG모빌리언스, 나이스정보통신, 다날, 헥토파이낸셜(구 세틀뱅크), 토스페이먼츠, 다우데이타 , 스마트로, KSNET, 이지페이(KICC) , 웰컴페이먼츠
API 방식** : 헥토파이낸셜(구 세틀뱅크) , 나이스정보통신, KG이니시스, 토스페이먼츠...
PG 제휴 간편결제 서비스 및 수수료 소개
공통
간편결제
PG 제휴 간편결제란?
간편결제사(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와 직접 계약을 맺지 않고 일반 결제대행사(KG이니시스, NHN KCP, 토스페이먼츠 등)의 계약만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결제
일반 결제대행사(PG)사란, 카드/계좌이체/가상계좌/휴대폰 결제 등의 일반 결제수단을 제공하는 결제대행사(PG)입니다.
PG 제휴 간편결제를 이용하는 이유
기본 결제대행사와 이미 계약이 되어있으신 경우 추가적인 계약 없이 이용하고 있던 기존 결제대행사를 통한 신청만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계약, 정산 등의 결제 ...
결제 데이터 분석 가이드
공통
결제데이터분석
결제 데이터 분석 서비스 소개
포트원 결제 데이터 분석은 결제 데이터 기반으로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고객사에서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결제 데이터 기반 분석 대시보드입니다.
사용설명서
1.결제 데이터 기반 대시보드
조건 지정**
기간 선택
버튼식 날짜 혹은 캘린더 뷰에서 원하는 기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2014년부터 그 이후의 데이터에 한하여 표기합니다.
통화 선택
통화는 KRW, USD, JPY, EUR, CNY , TWD, AUD, THB, HKD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결제유형
공통
종량제 과금 서비스
정기결제 연동방식
연동방식은 고객이 처음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에서 결제창방식 과 API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첫 카드 등록 이후 두 번째 결제부터는 모두 동일하게 API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결제창 방식 : 결제대행사의 결제창을
띄워서 카드정보를 등록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신용카드 정기결제(결제창) : PG사 결제창 안에서 카드정보를 입력하여 빌링키를 발급받음
신용카드 수기결제(결제창) : PG사 결제창 안에서 카드정보를 입력하여 일회성 결제를 시도함
휴대폰 소액결제 정기결제 : PG사 ...
네이버페이(결제형) 검수요청 항목
네이버페이(결제형)
결제대행사 계약
?
포트원 에서 참조 및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소개드립니다.
(네이버페이) 결제창을 띄우기 직전에 결제금액을 미리 사전에 등록하는 api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증방식의 결제를 진행할 때 결제금액 위변조시 결제진행자체를 block하기 위해 결제예정금액을 사전등록하는 기능입니다.
POST /payments/prepare
단, 해당 기능을 이용하실 때는 server-side에서 구현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추가적으로 포트원 연동 가이드의 결제정보 검증을 통해 취소 및 실패처리 로직을 구현하시는 ...
- ...